의료·복지 정보

[노인복지22] 이동통신요금 감면 대상 및 내용 안내

든든통증 2025. 1. 23. 11:49

 

이동통신요금 감면 대상 및 내용 안내

다양한 사회적 배려 계층을 위해 이동통신요금 감면 제도가 시행되고 있습니다. 특히 노인, 장애인, 국가유공자 등을 대상으로 통신 요금 부담을 경감하는 혜택이 제공됩니다. 아래는 주요 대상자와 감면 혜택의 상세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1. 주요 감면 대상 및 혜택

구분요금 감면 내용

장애인 - 기본료 또는 월정액, 음성통화료, 데이터 통화료 각각 35% 감면.
국가유공자 및 특별공로자 - 전상군경, 공상군경, 4.19혁명부상자, 6.18자유상이자 등.
기초생활수급자 - 생계급여 또는 의료급여 수급자:
  • 기본료 또는 월정액 26,000원 한도 내 면제.
  • 음성통화료 및 데이터 통화료 각각 50% 감면.
  • 월 사용액 합계 41,000원 한도로 감면 적용. | | 차상위계층 | - 기본료 또는 월정액 11,000원 한도 내 면제.
  • 초과분에 대해 음성·데이터 통화료 각각 35% 감면.
  • 월 사용액 합계 30,000원 한도로 감면 적용. | | 기초연금 수급자 | - 기본료 또는 월정액, 음성·데이터 통화료를 포함하여 이용료의 50% 감면.
  • 월 사용액 합계 22,000원 한도로 감면 적용. |

2. 세부 대상자

(1) 기초생활수급자

  • 생계급여 또는 의료급여를 받는 노인.
  • 통신 요금 전반에 대한 높은 감면 혜택 적용.

(2) 차상위계층

  • 자활 사업 참여자.
  • 사회보장시스템에 차상위계층으로 등록된 사람.

(3) 기초연금 수급자

  • 고령 노인 중 일정 소득 이하로 기초연금을 받는 사람.

(4) 기타 대상자

  • 희귀난치성질환자, 장애수당 및 장애인연금 수급자 등.

3. 감면 신청 방법

  1. 이동통신사 방문 또는 온라인 신청
    • 이용 중인 이동통신사의 대리점 방문.
    • 통신사 공식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신청 가능.
  2. 필요 서류 제출
    • 신분증.
    • 기초연금 수급자 증명서, 차상위계층 증명서 등 해당 증명 서류.
  3. 사회보장시스템 연계
    • 일부 대상자는 별도 서류 없이 사회보장정보시스템과 연계하여 자격 확인 가능.

4. 유의사항

  • 감면 혜택은 본인이 선택한 요금제에 따라 적용됩니다.
  • 감면 한도 초과 시 초과분은 본인이 부담해야 합니다.
  • 감면 혜택은 동일 명의로 등록된 한 대의 회선에만 적용됩니다.

5. 추가 정보 및 문의

  • 통신사 고객센터: 가입 중인 통신사(예: SKT, KT, LG U+)에 문의.
  • 읍·면·동 주민센터: 대상자 확인 및 증명서 발급.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홈페이지: 관련 정책 정보 확인.

이동통신요금 감면 제도는 고령자와 배려 계층의 통신비 부담을 줄이고, 디지털 소외를 해소하기 위해 마련된 정책입니다. 자신의 조건에 해당하는지 확인하고, 감면 혜택을 적극 활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