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인 의료비 지원 종류 정리
노인성 질환을 앓고 있는 어르신들은 경제적 부담 능력에 따라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의료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주요 의료비 지원 종류 및 내용
지원 항목대상자지원 범위
건강검진 (건강진단 등) | - 20~64세 의료급여 수급권자 - 65세 이상 지자체 주민 - 66세 이상 의료급여 수급자 |
- 일반건강검진: 2년에 1회 - 지자체 일반건강진단 - 생애전환기 건강검진 |
안(眼) 질환 치료 | 60세 이상 +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족 | - 수술비: 1안당 본인부담금 전액 지원 - 치료비: 수술비 및 사전 검사비 1회, 주사 2회 등 |
무릎관절증 | 60세 이상 +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족 | - 수술비: 한쪽 무릎당 120만원 한도 실비 지원 - 치료비: 본인부담금(검사비, 진료비 등) |
치아건강 – 임플란트 | 65세 이상 건강보험가입자 또는 피부양자 | - 1인당 평생 2개까지 법정본인부담률 제외한 금액 지원 |
치아건강 – 노인틀니 | 65세 이상 건강보험가입자 또는 피부양자 | - 완전틀니 및 부분틀니: 법정본인부담률 제외 나머지 지원 - 무상보상: 3개월 이내 6회까지 진찰료만 산정 |
치매검진 | 60세 이상 건강보험가입자, 피부양자, 의료급여 수급권자 | - 선별검사: 60세 이상 노인 - 진단·감별검사: 소득 120% 이하자 및 보건소장 인정자 대상 |
✅ 참고 링크
-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 https://www.nhis.or.kr/nhis/index.do - 건강검진 프로그램 안내
👉 정책센터 → 국민건강보험 → 건강검진 - 치과급여 안내 (임플란트·틀니 등)
👉 정책센터 → 국민건강보험 → 건강프로그램 → 치과급여
📝 유의사항
- 법정 본인부담률 및 지원 한도는 매년 변동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나
👉 관할 보건소에서 최신 내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각 지원사업은 신청 대상 요건과 절차가 다르므로, **증빙자료(수급자 증명서 등)**를 준비해 두시면 빠르게 진행됩니다.
'의료·복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복지61] 최근에 노인의료복지시설에 입소했는데요. 국민건강보험의 요양급여대상이 되는 가정간호를 받을 수 있을까요? (0) | 2025.05.15 |
---|---|
[노인복지60] 노인의료복지시설 입소 절차 정리 (1) | 2025.05.14 |
[노인복지59] 노인의료복지시설 입소대상 및 입소비용 정리 (1) | 2025.05.13 |
[노인복지57] 종합소득금액 기본공제를 받을 수 없을까요? (2) | 2025.05.11 |
[노인복지56] 비과세종합저축에 대한 과세특례 (1) | 2025.05.10 |